부천시가 가족친화기업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해법을 찾고자 기업·전문가·지자체가 한자리에 모였다.
'인구위기 극복 정책 토론회' 포스터.
부천시는 지난 25일 시청 판타스틱 큐브에서 ‘가족친화기업 육성, 지자체와 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시민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인구위기 시대에 대응해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조성 방안을 모색하고, 지자체와 기업의 실질적 협력 방향을 도출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는 류연규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조용익 부천시장과 함께 관내 벤처기업, 강소기업, 사회적기업 등 70여 명의 기업인이 참석해 기업현장 중심의 논의를 펼쳤다.
주제 강연에서는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홍석철 교수가 ‘초저출생 시대, 가족친화경영의 전략적 가치’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홍 교수는 출산율 하락의 원인을 진단하며, ESG를 넘어선 한국형 EFG(환경‧가족‧투명경영) 개념을 새롭게 제안했다. 그는 “가족친화경영은 단순한 복지를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인구정책의 현실적 해법이 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과 인식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민·관·연구·현장 전문가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조도자 부천시 여성회관 관장은 지역 기반의 민관 협력 실천방안을 제안했고, 황은정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인센티브 설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수 한국건강가정진흥원 본부장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정책을 연계하고 실행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가족친화경영 우수사례도 소개됐다. 한미자동기계 윤석준 상무는 구성원 인식 개선을 위한 지속적 교육, 유연근무제 도입 등 실천 중심의 내부 프로그램을 소개해 현장의 큰 공감을 얻었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가족친화 기업문화는 단순한 복지정책이 아닌, 인구문제 해결과 지역사회 정착률 제고를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오늘 논의된 다양한 제안을 시 정책에 반영하고,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서원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