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광고하세요!!

청년층 고용률 46.2%…취업자·경제활동 참가율 동반 하락

서원호 기자

등록 2025-07-24 15:02

2025년 5월 기준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46.2%를 기록하며 전년보다 0.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는 368만 2,000명으로 15만 명 감소했고, 청년층 인구도 전년 동월 대비 20만 명 줄었다.


2025년 5월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5년 5월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은 49.5%로 전년보다 0.8%포인트 하락했고, 실업자는 26만 2,000명으로 전년보다 1만 4,000명 줄었다. 실업률은 6.6%로 0.1%포인트 하락했지만, 전체 고용시장 위축 속에서의 감소로 해석된다.


학력별로는 졸업자 417만 5,000명 중 취업자가 296만 2,000명(고용률 71%), 재(휴)학자 379만 7,000명 중에서는 71만 7,000명(고용률 18.9%)이 취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 졸업까지 걸리는 평균 소요기간은 4년 4.4개월로 전년보다 0.6개월 늘었으며, 남성(5년 1.6개월), 여성(3년 10개월) 모두 증가했다. 반면, 휴학경험자의 평균 휴학기간은 1년 10.2개월로 0.3개월 줄었다.


재학 중 직장 체험을 한 청년 비율은 43.2%로 0.4%포인트 하락했으며, 체험 형태는 시간제 취업이 75%로 가장 많았고, 전일제 취업(9.8%)과 학교 현장실습(7.9%)이 뒤를 이었다.


졸업 후 취업 경험자 비율은 86.4%로 소폭(0.2%p) 상승했고, 전공과의 ‘매우 높은 관련성’을 느끼는 경우는 27.3%로 0.5%포인트 증가했다. 그러나 첫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로 ‘근로여건 불만족’을 꼽은 응답이 46.4%로 가장 많아 청년층 일자리 질에 대한 불만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임금근로 일자리까지 걸리는 평균 기간은 11.3개월(△0.2개월), 평균 근속기간은 1년 6.4개월로 전년 대비 0.8개월 줄었다. 첫 일자리 산업은 숙박·음식점업(16.3%)이 가장 많았고, 직종은 관리자·전문가(25.9%), 서비스종사자(24.6%) 순이었다. 임금 구간은 200만~300만 원 미만(39.7%)이 가장 많았다.


비경제활동 청년층 중 14.5%는 취업시험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일반기업체(36.0%)와 일반직 공무원(18.2%) 준비가 주를 이뤘다. ‘그냥 시간 보냄’으로 분류된 청년은 25.1%에 달했다.


전반적으로 청년 고용 지표는 위축세를 보였으며, 취업까지 걸리는 시간과 근속기간은 줄어든 반면, 졸업 소요기간은 늘고 있는 상황이다. 


서원호

서원호

기자

이재명, 차기 대선 적합도 1위…가상대결서도 과반 육박

전국지표조사(NBS)의 2025년 5월 1주차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차기 대통령 적합도 1위(42%)를 기록하고 가상 3자대결에서도 45~46%의 고른 지지율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재명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가 2025.04.30.(수)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하여 구호를 외

서울뉴스오알지
발행인다다미디어
편집인다다미디어
연락처070)4639-5352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4동 502호
다다미디어

서울뉴스오알지 © 서울뉴스오알지 All rights reserved.

서울뉴스오알지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