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광고하세요!!

2024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114조 원, 전년 대비 5.8% 증가

이상욱 기자

등록 2025-05-29 11:30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은 2024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114조 8,252억 원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으며, 수출도 10% 늘어난 72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업종별 생산실적 현황 

식품산업 생산은 국내 제조업 총생산의 16.8%를 차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식품 및 식품첨가물, 용기포장 등을 포함한 일반 식품이 74조 2,920억 원(64.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축산물이 37조 7,714억 원(32.9%), 건강기능식품이 2조 7,618억 원(2.4%) 순이었다.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의 확산은 생산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설탕을 줄인 '슈거제로' 제품은 590개 품목, 생산액 5,72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1% 증가했다. 특히 음료 외 빵류와 소스류에서도 제로 제품이 확대되며 109.7% 급성장했다.


식물성 원료 기반 식품은 691억 원어치 생산돼 전년 대비 5배 이상 증가했으며, 고단백 식품 생산액은 24% 증가한 5,688억 원에 달했다. 이는 건강한 식사를 추구하는 '헬시플레저(Healthy-Pleasure)' 소비 성향이 반영된 결과다.


축산물에서는 저염·저당·저지방 제품의 생산량이 21.3% 증가했고, 닭가슴살 등 저지방 고단백 부위 활용 제품 생산액도 7.3% 늘었다. 무항생제·동물복지 인증 제품은 3년 평균 11.9% 성장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받았다.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는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 생산액이 5,461억 원으로 전년보다 24.4% 늘며 처음으로 홍삼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기억력 개선(1조 1,426억 원), 혈행 개선(1조 1,651억 원) 관련 제품이 4년 연속 매출 1, 2위를 기록했으며, 피부건강과 인지력 개선 제품의 매출도 각각 32.7%, 106.7% 증가했다.


수출 실적도 크게 향상됐다. 라면은 17.6%, 즉석섭취식품은 25.6%, 조미김은 22.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K-푸드의 글로벌 인기를 입증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번 자료가 식품산업 정책 수립과 기업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건강과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 경향에 맞춘 산업 발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상욱

이상욱

기자

이재명, 차기 대선 적합도 1위…가상대결서도 과반 육박

전국지표조사(NBS)의 2025년 5월 1주차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차기 대통령 적합도 1위(42%)를 기록하고 가상 3자대결에서도 45~46%의 고른 지지율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재명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가 2025.04.30.(수)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하여 구호를 외

서울뉴스오알지
발행인다다미디어
편집인다다미디어
연락처070)4639-5352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에이스하이테크시티 4동 502호
다다미디어

서울뉴스오알지 © 서울뉴스오알지 All rights reserved.

서울뉴스오알지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